나는 왜 생산형 TO-DO앱 ToDoker를 개발하는가?생산형 TO-DO 앱에 대한 개발 의지의 시작제일 처음 생산형 TO-DO 앱에 대한 개발 의지는 자주 사용하던 앱인 Things 3에서 TO-DO를 체크하면 사라져서 성취감을 느끼기 쉽지 않았던 것에서 시작됐다. 나는 현재 웹페이지를 어느 정도 읽었는지 퍼센테이지로 알려주는 Read-Tracker라는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만들 정도로, 내가 어느 정도 진행했고 성취했는가를 시각적으로 보고 고양되는 타입이다. 이 부분은 사소해 보이지만 다음 스텝으로 나가기 위한 사기 상승과 동기부여에 정말 중요하다. Things 3에서 체크했던 To-Do들이 남아있어서 현재 프로젝트나 오늘 일정을 얼마나 진행했는지 파악하고 싶었다. Things 3를 사용했던 이유는 예..
시작하며개발을 한지 6년차가 되었지만 아직도 완벽함을 추구하여 일을 시작하기를 주저할 때가 있습니다. 좀 더 튼튼한 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는 장점은 있었지만, 많은 기회랑 시간이 든다는 점은 모든게 빠르게 바뀌는 현재에서 경쟁력을 갖기는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개발자 마인드셋 관련 영상을 봤는데 자극이되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유튜브 영상 | It took me 10+ years to realize what I’ll tell you in 8 minutes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하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렇게 생각합니다.“다른 개발자들은 다 알고 있는데, 왜 나만 이렇게 모르지?”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현업에 들어서면 깨닫게 됩니다. 정답은, 아무도 다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여기..
Java에서 boolean 타입의 필드를 다룰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문제와 그 해결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필드 이름이 “is”로 시작할 경우 발생하는 getter와 setter 관련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문제 상황Java에서는 boolean 타입의 변수에 대한 getter 메소드를 is로 시작하는 이름으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active라는 boolean 필드에 대해서는 isActive()라는 메소드를 사용하곤 합니다. 이는 JavaBeans 명세에서도 권장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필드 이름 자체가 isActive, isEnabled 같이 이미 ‘is’로 시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 Java의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Read-tracker 크롬 확장프로그램 개발기 - (1) 개발 배경과 아이디어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 계기웹 서핑을 하다 보면 긴 글을 읽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E-book을 읽을 때처럼 '내가 지금까지 얼마나 읽었고, 앞으로 얼마나 남았는지'를 확인하는 습관이 있다 보니, 웹에서도 같은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부 웹사이트에서는 읽기 진행률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지만, 이는 특정 사이트에 한정된 기능이었습니다. 포탈마다 위치가 다르고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또한, 모바일에서는 화면 상단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기본 제공되지만, PC에서는 이런 기능이 없어 ..
웹 브라우징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는 다양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3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개발자로서 업무 효율을 높이고, 글쓰기 보조 역할을 하며, 직접 개발한 확장 프로그램까지 포함하여 소개해드리겠습니다.1. Vimium - 키보드만으로 웹 브라우징을 빠르게🔗 Vimium 다운로드개발자로서 마우스를 많이 사용하면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Vimium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해 주는 좋은 크롬 확장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이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웹 브라우징을 키보드만으로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F 키를 누르면 모든 클릭 가능한 요소에 단축키가 표시되어 빠르게 조작 가능 J / K 키로 tab 이동 H / L 키로..
드로우앤드류 'AI 시대에 살아남을 기적의 독서법' 영상을 보고 인상 깊어 개인적을 생각을 보태서 글을 작성하려합니다. 현대 사회는 AI의 등장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정보를 소비하는 것만으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고, 이제는 긴 서사를 만들고 의미 있는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독서입니다. '도파민'이라는 키워드가 여기저기 자주 들릴 정도로 도파민이 넘치는 세상에서 독서는 유독 어렵게 다가옵니다.독서의 어려움과 극복 방법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긴 러닝 타임과 올바른 독서 방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작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에 단 한 페이지를 읽고, 그중 마..
SQL을 작성할 때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현업에서 가독성을 고려하지 않은 쿼리문을 마주한다면... 유지보수 과정에서 크게 스트레스를 받곤 합니다. (물론 누가 이렇게 제멋대로 쿼리를 짰어 투정부리며 Git Blame을 눌렀을 때 과거의 나일 경우도 있습니다.) 잘 정리된 SQL은 팀원들과 협업할 때도 도움이 되고, 추후 수정할 때도 수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QL 쿼리를 잘 쓰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1. 주석을 잘 남기자 📝SQL을 작성할 때 주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나중에 다시 볼 때 코드의 목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주석을 다는 방법:한 줄 주석: -- 를 사용합니다.여러 줄 주석: /* */ 를 사용합니다.-- 활성 사용자 목록 조회SELECT u..
일본 IT 업계는 해외 개발자들에게도 다양한 취업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특히, 개발자의 연봉 수준이 점점 상승하고 있으며, 원격 근무를 포함한 유연한 근무 조건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엔화의 약세로 과거에 비해 체감되는 연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일본에서의 라이프 스타일이 맞는다면 이보다 좋은 근무 환경은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일본에서 개발자로 근무를 한 경험이 있으며, 장단점은 있었지만 상당히 만족하면서 회사생활을 했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해봤으며 직접 피부로 느꼈던 일본 개발자로서의 삶들을 블로그에 꾸준히 정리해보려합니다. 이 글에서는 일본 IT 회사의 개발자 연봉 수준과 취업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일본 IT 회사 개발자 연봉 수준1.1 평균 연봉일본에서 개발자의 연봉은 ..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는 개발자와 DBA에게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SQL 문이 비효율적으로 작성되면 시스템 자원이 불필요하게 소비되고, 응답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해 EXPLAIN PLAN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EXPLAIN PLAN의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실행 계획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XPLAIN PLAN이란?EXPLAIN PLAN은 SQL 문이 실행될 때 옵티마이저(Optimizer)가 선택한 실행 계획을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쿼리가 어떤 방식으로 실행될지를 예측하고,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주요 확인 요소:실행 순서 및 접근 방법 (Full Table Scan, Inde..
현업에서 개발환경의 용량이 90프로를 초과해서 컴포넌트들의 저장공간을 비워야했습니다. 혼자서 전체 저장공간을 정리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담당자에게 용량 정리를 할당해야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1GB이상의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 컴포넌트들 지워야한다는 기준을 세웠고 그 때 사용한 명렁어가 'du'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du'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법부터 실무에서 유용한 옵션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1. du 명령어란?du(Disk Usage)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하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주로 디스크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거나 대용량 파일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2. 기본 사용법기본적으로 du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의 크기를 출력합니다.$ du출력..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지식
- 쿼리
- 개발회고
- 진행률
- read-tracker
- 쿼리튜닝
- 데이터베이스
- grammarly
- SQL
- 페이지네이션
- 인덱스
- readtracker
- Ai
- 역직렬화
- 쿼리최적화
- 크롬
- 삭제쿼리
- NoSQL
- vimium
- 개발기
- keyset
- 개발
- db
- db성능개선
- 개발자
- 확장프로그램
- 할일관리
- 생산성
- 개발자면접
- 데이터베이스삭제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